국보 순례

국보 53호 연곡사동부도(연谷寺東浮屠)

창포49 2010. 5. 22. 23:40

 

 

국보   53호
명   칭   연곡사동부도
  (연谷寺東浮屠)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 연곡사

 

탑이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라면, 부도는 유명했던 스님들의 사리를 두는 곳이다. 부도의 구성은 석탑과 같아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이 부도는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돌위로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곡사는 고려 전기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이 부도 외에도
서부도(보물 제154호), 북부도(국보 제54호) 등 2기가 더 있다. 동부도는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작품이다. 

기단(基壇)은 세 층으로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윗받침돌을 올렸다. 아래받침돌은 두 단인데,
구름에 휩싸인 용과 사자모양을 각각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에는 둥근 테두리를 두르고, 부처님의 설법을 들으러 몰려든다는 8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겼다. 윗받침돌 역시 두 단으로 나뉘어 두 겹의 연꽃잎과 기둥모양을 세밀하게 묘사해 두었는데, 이 부분에 둥근 테를 두르고 그 안에불교의 낙원에 사는 극락조인 가릉빈가(伽陵頻迦)를 새겨둔 점이 독특하다. 

탑신(塔身)은 몸돌의 각 면에 테두리를 두르고, 그 속에 향로와 불법을 수호하는 방위신인 4천왕상(四天王像)을
돋을새김해 두었는데, 그 수법이 그리 훌륭하지는 못하다. 지붕돌에는 서까래와 기와의 골을 새겼으며, 기와를 끝맺음할 때 두는 막새기와까지 표현할 정도로 수법이 정교하다. 머리장식으로는 날개를 활짝 편 봉황과 연꽃무늬를 새겨 아래위로 쌓아 놓았다. 

도선국사의 부도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으며, 일제 때 동경대학으로 반출될 뻔한 위기도 있었지만 다행히도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기단이 좀 높아 보이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안정된 비례감을 잃지 않으면서 훌륭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후기를 대표할 만한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곡사는 지리산 자락에 있는 사찰로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다.

       543년(신라 진흥왕 4년) 화엄사의 종주 연기조사가 창건했고, 임진왜란 때 방화로 불탄 것을 중건했는데,

       일제시대 고광순이 의병을 거느리고 이곳에서 왜군과 싸우는 과정에서 다시 불타버렸다.
       이후 6·25전쟁을 거치면서 흔적조차 찾기 어려웠던 연곡사는 지난 1981년 구 법당을 헐고 정면 5칸 측면 3칸의 새 법당을 세웠다.
       이땅을 휩쓸고 지나간 아픈 역사가 천년의 고찰을 폐허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절의 이름은 연기조사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 큰 연못에서 제비 한 마리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

       법당을 세운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연곡사는 사찰내 국보 2점(동부도·북부도)과 보물 4점

      (동부도비·서부도·현각선사탑비·삼층석탑)이 말해주듯 부도탑이 얼굴이다.

 

         구례 산수유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般若心經)이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을 줄여서 반야심경 또는 심경이라고
부릅니다.

반야심경은 六백부 반야경의 법문을 二百六0자로 집약하여 만든 경전입니다.
팔만대장경 가운데 二百六0자밖에 안되는 경전이지만 장경의 진리를 가장 함축성있게 간직한 경이라는 뜻으로 심경이라고 합니다. 이 경은 당나라 삼장법사 현장스님이 번역한 것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불교의 거의 모든 법회의식에서 독송되고 있으며, 반야부 경전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불교 경전이다.

원래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이며, 그 핵심은 역시 공사상이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실체가 없는 공임을 철저하게 터득함으로써 지혜를 뜻하는 반야를 얻어, 결국 정각(正覺)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대장경판 국보제32호.반야바라밀다심경 부분 경전을 살펴보면 관세음보살을 통해서 반야의 인격을 보였으며, 불생불멸(不生不滅)을 통해서 반야의 실상을 천명했고, 보살과 부처님을 통해서 반야의 공덕을 나타내고 있다.

간추려보면 지혜의 눈으로 자기 마음 속에 숨어있는 부처의 지혜광명을 개발함으로 온갖 무명번뇌의 업장과 죄악이 소멸되고 부처님의 해탈을 성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법문인 것입니다.
그리고 반야바라밀에 대한 신앙과 발원으로 경전의 종반부를 이루고 있다.

우리가 함송하는 것은 당나라때 현장스님이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으로부터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라고 합니다.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