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한국)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창포49 2010. 4. 28. 13:42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 역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책.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 역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책. 필사본 및 활자본. 국보 제151호.
국가기록원 부산지원·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 소장. 
25대 왕의 실록명칭 등 세부 내역은 〔표〕와 같다. 실록은 특정한 때에 한꺼번에 편찬된 것이 아니라 대대로 편찬한 것이 축적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노산군·연산군·광해군 때의 기록의 명칭을 일기라고 한 것은 세 임금 모두 폐위되어 왕자의 칭호인 군으로 격하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노산군의 경우 처음에는 《노산군일기》라고 하였으나 1698년(숙종 24) 단종으로 복위되었으며, 1704년(숙종 30) 《단종대왕실록》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일기라 해도 내용과 사료적 가치는 실록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또한 선조·현종·경종의 경우 《선조실록》 《현종실록》 《경종실록》과 《선조수정실록》 《현종개수실록》 《경종수정실록》의 2종류가 있는 것은 집권세력들이 자신들의 입지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내용을 변개(變改)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고종실록·순종실록은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에 의해 이왕직(李王職)에서 편찬된 것으로 왜곡된 내용이 많아서 일반적으로 조선왕조실록이라 하면 태조~철종까지의 실록을 뜻한다. 
실록은 왕이 죽으면 다음 왕 때에 편찬하는 것이 통례로서, 춘추관에 실록청 또는 찬수청을 두고 영의정이나 좌·우의정을 총재관으로, 대제학 및 기타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수찬관으로 임명하고, 도청(都廳)과 1·2·3 내지 6방으로 나누어 편찬하였다. 편찬자료는 <춘추관시정기>와 전왕 재위 때 사관들이 작성해둔 <사초(史草)>를 기본으로 삼고, 그 밖에 《승정원일기》 《의정부등록》과 후세에는 《비변사등록》 《일성록》 등을 자료로 삼았다. 이상의 기록들이 실록청에 모여지고, 1·2·3 각 방에서 편년체로 초초(初草)를 만들어 도청으로 넘기면, 도청에서는 초초를 보완 수정하여 중초(中草)를 만들었다. 이것을 총재관과 도청당상이 교열하고 체재와 문장을 통일하여 정초(正草)를 만들고, 실록으로 확정·간행하여 사고에 보관하였다. 
실록은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되며, 지배층 위주의 관찬기록이라는 한계성이 있기는 하나 여러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고 있어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귀중한 역사기록물이다. 이같이 역사적 가치를 지닌 실록이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문 이해의 어려움 때문에 접근이 어려웠으나 1968년부터 고전 국역사업의 하나로 민족문화추진회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나누어 맡아 국역 간행사업을 시작하여 1993년 413권 국역본을 완간하였다. 
북한에서는 1970년대초 국가 주도로 국역사업을 시작, 1981년 번역을 완료하고 1990년 전체 401권을 완간하였다. 

현재 국보 제151호로 지정된 책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정족산본(鼎足山本) 1181책. 《문종실록》 권11과 《성종실록》 권70·71·80·132·133 이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서울대학 교 규장각 소장. 55×30㎝. 국보 제151-1호. 
② 태백산본(太白山本) 848책. 《문종실록》 권11만 제외하고 거의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으며, 8·15해방 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가 1985년 3월 국가기록원 부산지원으로 옮겨져 오늘에 이른다.       국보 제151-2호. 
③ 오대산본(五臺山本) 오대산 사고본의 잔여본 27책. 일제강점기에 일본 도쿄대에 이관되었다가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거의 대부분 소실되었다. 화를 면한 책들 가운데 30책은 도쿄대학에 보관되어 있으며, 27책만 1932년 경성제국대학으로 옮겨져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27책은 《중종실록》 중종 2년 5월에서 17년까지의 20책과 《선조실록》 선조 16년 1월에서 26년까지의 실록 잔여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국보 제151-3호. 
④ 기타산엽본(其他散葉本) 잔존분 21책.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실록의 낱장으로 오랫동안 규장각에 파지 상태로 남아 있던 정종~광해군 때까지의 총 558엽의 낱장을 1972년 6월 21책으로 장책한 것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국보 제151-4호.

           이상과 같이 《조선왕조실록》의 총 책수는 2077책이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일람표
왕대 통칭 원제 편찬년대 권수 책수
1 태조실록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 1413(태종 13) 15 3
2 정종실록 공정왕실록(恭靖王實錄) 1426(세종 8) 6 1
3 태종실록 태종공정대왕실록(太宗恭定大王實錄) 1431(세종 13) 36 16
4 세종실록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 1454(단종 2) 163 67
5 문종실록 문종공순대왕실록(文宗恭順大王實錄) 1455(세조 1) 12 6
6 단종실록 노산군일기(魯山君日記) →
단종대왕실록(端宗大王實錄)
1469(예종 1) 14 6
7 세조실록 세조혜장대왕실록(世祖惠莊大王實錄) 1471(성종 2) 49 18
8 예종실록 예종양도대왕실록(睿宗襄悼大王實錄) 1472(성종 3) 8 3
9 성종실록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1499(연산군 5) 297 47
10 연산군일기 1509(중종 4) 63 17
11 중종실록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
(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1550(명종 5) 105 53
12 인종실록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실록
(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實錄)
1550(명종 5) 2 2
13 명종실록 명종대왕실록(明宗大王實錄) 1571(선조 4) 34 21
14 선조실록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 1616(광해군 8) 221 116
선조수정실록 1657(효종 8) 42 8
15 광해군일기
태백산본 1633(인조 11) 187 64
정족산본 1653(효종 4) 187 40
16 인조실록 인조대왕실록(仁祖大王實錄) 1653(효종 4) 50 50
17 효종실록 효종대왕실록(孝宗大王實錄) 1661(현종 2) 21 22
18 현종실록 현종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실록
(顯宗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實錄)
1677(숙종 3) 22 23
현종개수실록 현종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개수실록
(顯宗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改修實錄)
1683(숙종 9) 28 29
19 숙종실록 숙종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실록
(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實錄)
1728(영조 4) 65 73
20 경종실록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실록
(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實錄)
1732(영조 8) 15 7
경종수정실록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수정실록
(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修正實錄)
1781(정조 5) 5 3
21 영조실록 영종대왕실록(英宗大王實錄) 1781(정조 5) 127 83
22 정조실록 정종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실록
(正宗文成武烈聖仁莊孝大王實錄)
1805(순조 5) 54 56
23 순조실록 순조연덕현도경인순희문안무정헌경성효대왕실록
(純祖淵德顯道景仁純禧文安武靖憲敬成孝大王實錄)
1838(헌종 4) 34 36
24 헌종실록 헌종경문위무명인철효대왕실록
(憲宗經文緯武明仁哲孝大王實錄)
1851(철종 2) 16 9
25 철종실록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실록
(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永孝大王實錄)

 

1865(고종 2) 15 9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