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한국)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諸)경판

창포49 2010. 5. 1. 11:53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諸)경판

고려대장경판 81,258판
그외 1098년부터 1958년까지 불교 경전과 불교 역사, 불교 계율, 불교 연구논문, 고승의 문집, 계율판, 불교
판화 등 5,987판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의 제작은 한국이 13세기에 일구어낸 위대한 문화적 업적으로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려대장경판은 81,258 목판에 새긴 대장경판으로 아시아 전역에서는 유일하게 완벽한 형태로 현존하는 판본자료다.

고려대장경판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완벽한 불교 대장경판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한역된 불교대장경의 원본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대장경판은 인도 및 중앙아시아 언어로 된 경전, 계율, 논서, 교리 및 불교와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집대성하여 한역한 내용과 더불어 중국어가 원문인 일부 문헌을 선정하여 수록하고 있다. 그 엄청난 규모로 볼 때 이러한 대장경판의 제작은 상당한 국고 및 인력의 투입을 필요로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해인사에 소장되고 있는 고려대장경판과 제 경판 87,000여장의 목판은 1098년부터 1958년까지의 오래 시간에 걸쳐 완성된 경판들로써 국가제작판과 사찰제작판으로 나뉜다.

국가제작판은 고려대장경으로 81,258판 5,200여 만자에 달하고, 사찰제작판은 5,987판이다.

고려대장경판은 이미 사라진 초기 목판제작술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한편, 고려시대의 정치, 문화, 사상의 흐름과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역사기록물이기도 하다.

경판 표면에는 옻칠을 하여 글자의 새김이 760년이 지나도록 생생한 상태로 남아 현재까지 인쇄할 수 있을 정도이다.

 ※ 대장경(大藏經)은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가 일생동안 설법한 경전과 계율, 그리고 그 내용들에 대해 후대의       

 사람들이 첨부한 논서, 주석서, 이론서들을 집대성한 불교경전(佛敎經典)의 총서(叢書)를 가리키는 말이다.

 

세계적 의미, 독창성, 비대체성

고려대장경은 당시까지 동아시아 지역에 존재하던 모든 불교 경전의 내용을 집대성한 가장 방대한 문헌으로 동아시아 지역 당대 최고의 경전이라 할 수 있다. 송나라 대장경을 비롯하여 고려대장경 이전에 중국 및 일본에서 제작된 경전과 비교해 볼 때 고려대장경의 학술적 내용 및 품질 관리에 투입된 심오한 노력은 오늘날과 비교해도 놀라운 수준이다.

 

 

                              

 

                

                 수기스님 등이 초조대장경과 송나라 대장경과 거란 대장경의 내용을 비교하면서 철저하게 교정하여

                 가장 완벽한 대장경으로 만들었다. 그리하여 고려대장경은 아시아 각국 대장경의 원본으로서 역할을 했을 정도로

                 비교할 대상이 없다. 불교 대장경 가운데 가장 정확한 대장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247년 완성된 이 고려대장경의 교정 기록을 30권 분량에 담고 있는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은

                 고대 동아시아 학자들이 수천 권에 달하는 경전의 내용을 어떻게 대조 및 편집하여 한 권의 경전을 탄생시켰는지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현존하는 유일한 기록이다. 수기대사의 교정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이 기록은

                 그가 2세기 후에 본문비평학이라는 서양 학문을 창시한 에라스무스(1466-1536)보다도 훨씬 더 예리한 통찰력을

                 소유한 인물로어려운 내용을 유창하고 평이하게 풀어쓰는 능력이 뛰어났음을 잘 보여준다.

                 고려대장경판은 1237-1248년에 제작된 것이지만 훌륭하게 보존되고 있으며 현재도 인쇄할 수 있다.

                 소장하고 있는 목판의 수량도 87,000여 장이 된다. 고려대장경보다 먼저 제작된 북송대장경과 고려 초조대장경 그리고

                 거란본대장경은 거의 전래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법원주림(法苑珠林), 일체경음의(一切徑音義)와 내전 수함음소(內典隨函音疎) 등은 고려대장경에만

                 수록되어 있고 다른 목록에는 보이지 않았다.

                  해인사는 11세기 초기부터 900년간 출판인쇄 문화를 선도하면서 한국의 불교문화를 이끌었던 곳이다.                     

                  현재 해인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경판은 그 다양한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이곳의 경판은 중국에까지 그 천재성이 알려진 원효의 저술 등 한국의 위대한 고승들의 저술 등이 있고,

                  경전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판화가 각 시대별로 갖추어져 있는 등 세계에서 유일하고 희귀한 가치를 지니는 경판이

                  대부분이다.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은 2007년 6월 제8차 유네스코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6.13∼15, 남아공 프레토리아)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영원한 자유(自由) / 성철 큰스님

 

 

                             

 

 

 

1912년

  경남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에서 아버지 이상언 님, 어머니 강상봉 님의 장남으로 출생

1935년

  지리산 대원사로 영원의 문제를 풀기 위한 구도의 길을 떠남

1936년

  해인사(海印寺)로 출가. 3월에 하동산(河東山) 스님을 은사로 수계 득도
  범어사 금어선원에서 하안거, 범어사 원효암에서 동안거

1937년

  범어사 원효암에서 하안거, 통도사 백련암에서 동안거

1938년

  범어사 내원암에서 하안거, 통도사 백련암에서 동안거

1939년

  경북 은해사 운부암에서 하안거, 금강산 마하연에서 동안거

 

  

1940년

  금강산 마하연에서 하안거, 동화사 금당선원에서 동안거, 오도송(悟道頌) 읊음

1941년

  전남 송광사 삼일암(三日庵)에서 하안거, 충남 수덕사 정혜사에서 동안거

1942년

  충남 서산군 간월도의 만공(萬空) 스님 토굴에서 하안거, 동안거

1943년

  충북 법주사 복천암에서 하안거, 경북 선사 도리사에서 동안거

1944년

  선산 도리사에서 하안거, 경북 문경의 대승사에서 동안거

1945년

  대승사에서 하안거, 대승사 암자인 묘적암에서 동안거

1946년

  경북 파계사 성전에서 하안거, 동안거

 

  

1947년

  통도사 내원암에서 하안거, 경북 문경 봉암사(鳳巖寺)에서 동안거
  봉암사에서 "부처님 법 답게 살자"는 기치 아래 결사(結社)하여 청담, 자운, 월산, 혜암, 성수, 법전스님 등과 주석.
  중국 총림의 일과에 맞게 생활하고 대불정능엄신주를 독송하도록 함.

1948년

  봉암사에서 하안거, 동안거

1949년

  봉암사에서 하안거, 경남 월내리의 묘관음사에서 동안거

1950년

  경남 고성군 문수암에서 하안거, 동안거

1951년

  안정사 윗 산자락에 초가삼간의 토굴을 지어 천제굴이라고 이름함.
  경남 고성의 은봉암에서 하안거, 경남 통영 안정사의 천제굴(闡提窟)에서 동안거
  신도들에게 3천배를 하게 함.

1952년

  천제굴에서 하안거, 경남 마산의 성주사에서 동안거

1953년

  천제굴에서 하안거, 동안거

 

  

1954년

  천제굴에서 하안거, 동안거
  비구 종단의 정화(淨化)가 시작됨.

1955년

  경남 남해의 용문사 백련암에서 하안거, 파계사 성전에서 동안거.
  비구 정화 후, 해인사 초대 주지로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음.

1956년
∼1963년

  파계사 성전암에서 동구불출하며 하안거, 동안거

 

  

1964년

  부산 다대포에서 하안거, 서울의 도선사에서 동안거

1965년

  경북 문경의 김용사(金龍寺)에서 하안거, 동안거

1966년

  김용사에서 하안거
  육조단경, 금강경, 증도가 및 중도이론을 대중들에게 최초로 설법함.

1967년

  경남 해인사로 와서 백련암(白蓮庵)에 주석함.
  해인총림의 초대 방장으로 취임, 동안거 기간 중에 백일법문(百日法門)을 함.

 

  

1967년
∼1993년

  11월 4일 열반하기까지 해인총림 방장으로 퇴설당과 백련암에 주석함.

1976년

  『한국불교의 법맥』 출간

 

  

1981년

  1월 20일 대한불교조계종 제7대 종정으로 취임. '산은산 물은 물'이라는 법어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킴
  12월/『선문정로(禪門正路)』 출간

1982년

  11월/『본지풍광(本地風光)』 출간

1986년

  6월/『돈오입도요문론 강설』과 『신심명·증도가 강설』 출간

1987년

  6월/『자기를 바로 봅시다』 출간
  7월/백련불교문화재단 설립
  11월/도서출판 장경각 설립(선림고경총서 출판 시작)

1988년

  2월/『돈황본 육조단경』 출간
  7월/『영원한 자유』 출간

 

  

1991년

  대한불교조계종 제8대 종정 재추대

1992년

  4월/『백일법문』 상·하 출간

1993년

  10월 7일∼9일 해인사에서 제1회 백련불교학술회의 [선종사에서 돈오돈수 사상의 위상과 의미] 개최
  11월 4일 오전 7시 30분 해인사 퇴설당에서 입적
  11월 10일 영결식 및 다비식 봉행, 11월 12일 100여과에 이르는 사리 수습

 

  

 

 

 

120

'세계유산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강술래  (0) 2010.05.04
동의보감 (東醫寶鑑)  (0) 2010.05.02
조선왕조의 의궤(儀軌)   (0) 2010.05.01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0) 2010.04.30
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心體要節)"  (0) 201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