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 강남의 여인(江南女)/ 최치원|

창포49 2019. 3. 18. 16:40


              


강남의 여인〔江南女(강남여)〕 최치원


 

강남에선 풍속이 제멋대로라           江南蕩風俗(강남탕풍속)

딸아이를 기를 때도 그저 예쁘게     養女嬌且憐(양녀교차련)

허파에 바람 들어 바느질 대신        性冶恥針線(성야치침선)

화장을 끝내고는 악기나 타네         粧成調管絃(장성조관현)

배우는 게 우아한 음악 아니고        所學非雅音(소학비아음)

그게 다 남녀 간의 사랑 노래라       多被春心牽(다피춘심견)

제 생각엔 향기로운 꽃 같은 얼굴    自謂芳華色(자위방화색)

언제나 이팔청춘 누릴 줄 아네        長占艶陽年(장점염양년)

이웃집 저 처녀를 도로 비웃지        却笑隣舍女(각소린사녀)

아침 내내 베틀에서 베를 짜는데     終朝弄機杼(종조농기저)

베 짠다고 죽을 고생 다 한다 해도   機杼縱勞身(기저종로신)

비단옷은 네가 입지 못할 거라고     羅衣不到汝(라의부도여)


 

강남은 작자 최치원(崔致遠: 857-?)이 중국에서 활동할 때의 주 무대다. 작품에는 강남에 살고 있는 두 여인의 모습이 대조적으로 포착되어 있다. 하나는 야한 화장을 하고 사랑타령에 빠져 지내는 취생몽사 형의 허파에 바람 든 처녀이다. 다른 하나는 노동의 고통에 시달리면서도 오히려 비웃음의 대상이 되는 설상가상 형의 가련한 처녀다. 따라서 이 작품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노래한 사회시의 범주에 포함된다. 북한에서 최치원을 사실주의적 사회시의 작가로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가 된다.


그런데 최치원은 왜 이런 시를 지었을까? 죽어라고 베를 짜도 비단옷을 입지 못하는 그 가련한 처녀의 삶이 몹시도 애달팠기 때문일 게다. 하지만 그것이 창작 동기의 전부일까? 아마도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다 알다시피 최치원은 황소 토벌군의 사령관이었던 고변의 막부에서, 호미 대신에 붓으로 경작하여 생계를 해결했던 문인이다. 그가 한 일은 고변을 대신하여 글을 짓는 것. 4년 동안 무려 만여 수의 글을 지었다고 하는데, 그게 거의 다 고변을 위한 대작이었다. 최치원의 이름을 온 천하에 떨치게 한 명문 중의 명문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도 물론 그렇다.


그러고 보면 최치원의 처지는 죽어라고 비단옷을 짜서 남 좋은 일이나 시키고 있는 강남 처녀와 다를 바가 없다. 따라서 위의 작품에서 작가가 정말 노래하고 싶었던 것은 베 짜는 처녀의 비애가 아니라, 먹고 살기 위해서 대작이나 하고 있는 자신의 비애가 아닐까 싶다. 그 옛날 우리나라 과부들이 어금니를 깨물면서 슬픔을 참다가, 남의 집 초상에 가서 꽁꽁 숨겨뒀던 자신의 슬픔을 대성통곡하며 터뜨렸던 것처럼!


                      글: 이종문(시인, 계명대 한문교육과 교수)


매일신문 '이종문의 한시산책'에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다는 것 / 박경리  (0) 2019.03.23
꽃으로 잎으로 ...유안진  (0) 2019.03.21
침묵하는 연습 ... 유안진  (0) 2019.03.17
서리꽃 /유안진  (0) 2019.03.15
강남의 여인〔江南女(강남여)〕 최치원  (0) 201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