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순례

국보 92호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 (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창포49 2010. 6. 26. 23:10

 

 

국보   92호
명   칭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
  (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대표적인 금속 공예품의 하나로 높이 37.5㎝의 정병(淨甁)이다.

어깨와 굽 위에 꽃무늬를 돌리고, 그 사이에 갈대가 우거지고 수양버들이 늘어진 언덕이 있으며, 주위로 오리를 비롯하여 물새들이 헤엄치거나 날아오르는 서정적인 풍경을 묘사하였다. 먼 산에는 줄지어 철새가 날고 있고, 물 위에는 사공이 조각배를 젓고 있다. 이들은 모두 청동 바탕에 은을 박아 장식한 은입사(銀入絲)기법을 썼으며, 은상감무늬이다.

물을 따르는 부리에는 뚜껑이 덮혀 있는데 구멍을 뚫어 장식하는 기법으로 덩굴 무늬를 새기고, 그 옆면에는 연꽃 무늬를 배치하였다. 목 부분에도 뚜껑이 있는데 은판(銀板)을 뚫을새김으로 장식하였다.

이 정병은 형태에 있어서 안정감 있고 유려한 곡선미를 보여주며, 무늬를 표현함에 있어서도 고려 전기부터 크게 발달된 입사기법(入絲技法), 즉 은을 박아 장식하는 기술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은입사정병은 여러 점이 알려져 있으나, 이 정병은 잘 조화된 우아한 모습을 보여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 제비원미륵불 (보물 제115호) 

 

 

 

 

 

        

                            제비원 미륵불(보물 115호) / 안동시 이천동 

 

                                  연(燕)이를 사모한 법당 짓던 와공이 한 순간 실수로

                                        지붕에서 떨어져 죽어 날아간 혼이 제비요,

                                  연(燕)이는 죽어 석불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그러기에 제비원미륵불은 연(燕)이 아씨를 닮아

                                  세상 소원 다 들어주는 미소를 지녔다.  

                                        풍채가 나라 안에서 내노라 하고 미소도 그러하다.

                                  그러기에 안동의 얼굴로 삼았을 것이다. 

                                        산 넘어가던 길손이 쉬어가던 곳이 제비원(燕飛院)이요,

                                  성주의 근원이 안동땅 제비원으로

                                        민간신앙의 근원지이기도 하다.

                                  이래저래 제비원은 사람들이 머물다 갈 자리이다.

 

                                 ○ 제비원미륵불/ 안동 이천동 석불상이 공식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