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자신의 본명인 “천옥자” 앞에 두었지요.
그 뒤 그 이름은 인생의 아름다움과
슬픔,
외로움들을 신비롭게 표현할 줄 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여류화가의 이름이 되었습니다.
천경자 화백은 어려서부터 독특한 감수성을
가지고
화가가 되기를 꿈꾸었습니다.
그녀가 자랄 당시 대부분의 여자는
소학교도
제대로 다닐 수 없었던 일제시대였습니다.
하지만 천 화백은 교육과 문화에 열린 가정 환경 덕분에
광주에서 고등학교까지 마칠 수 있었지요.
고등학교를 마칠 때 즈음 집안에 혼담이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그림을 공부하고 싶었고 일본 유학을 결심했습니다.
물론 집안의 반대가 심각하였지요.
천 화백은 정신병자 흉내를 내면서까지 부모님께
유학을 보내달라고 졸랐습니다.
미친듯이 웃다가, 울기도 하고,
중얼거리면서 집안을 돌아다녔지요.
결국 부모님은 허락하셨고, 그녀는 배를
타고
일본으로 떠날 수 있었습니다.

동경여자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온 천 화백은
유학 중 만난 남편과 결혼을 하였습니다.
그 후 다시 신문기자였던 두 번째 남편을
만났지만 곧 헤어졌습니다.

진주를 품은 조개처럼 쉽지 않았던
인생의 고개들이
그녀의 가슴 속에 쉽게 식지 않는
예술혼을 잉태한 것입니다.
“나물 캐러 갔던 동네 소녀가 허리띠인 줄 알고
꽃뱀을 집으려다가
물려 죽은 일이 있었어요.
무서우면서도 이상하게 마음 끌리는 그
장면이
어렸을 때부터 머리에 남아
언제가 그림으로 그리고 싶었지요.
그러나 내가 처음 그린 뱀은 꽃뱀이 아니라
한 뭉텅이의
푸른 독사였어요.”
인생의 실패와 좌절을 맛보고
그녀가 자신의 삶에 저항하기 위해 택한 소재가 뱀이었습니다.
그녀는 전남여고 미술교사로 재직하면서 뱀에 대한
6.25로 인하여 부산으로 피난을 갔던 천 화백은
그 곳에서 자신이 그린 뱀 그림 전시회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젊은 여자가 뱀을 그렸다’면서 신기해하였구요.
그것이 “천경자”라는 이름을 세상에 알리게 한
또한 그녀의 작품 속에서
일관되게 등장하는
이미지는 꽃과 여인입니
아마도 가장 일반적인 아름다움을
대변하는 것이
꽃과
여인이기 때문인 듯 합니다.

그녀의 작품 속에는 아름다움이 주로 보여지고 있지만,
그 아름다움은 외롭기도 하고 슬퍼보이기도 하지요.
고독의 미와 아픔의 성숙이 천경자의 예술을 다른
작품들과 다르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던 1974년, 18년간 재직하던 홍익대 교수직을 버리고,
문득 천 화백은 아프리카로
떠났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여행은 남태평양과
유럽,
남아메리카까지 계속되었지요.
보
여행에서 느낀
선명한색감시
적 인상을
의
작품 세계에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베트남 전쟁에서 보여졌던 안타까운 인간의
또 다른 모습들을
아름답고 평화로운 자연에 비추어서
그림으로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오래전이었던 1991년 천 화백은 힘든
일을 겪기도 했습니다.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의 “미인도”에 대한
진품 시비 사건 때문이지요.
천 화백은 끝까지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고 말하였지만,
사람들은 듣지 않았습니다. 많은 감정사들이
그녀의 작품이라고 판결하였고,
입장이 난처해진 미술관에서도 천
화백의
작품이라 주장하였지요.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은 천 화백은 자신의
작품들을
서울 시립 미술관에 기증하고,
그 뒤 진품 위조 사건은 범인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천 화백은 한국에 다시 돌아오지 않은 채
지금도 스케치북을 옆구리에 끼고
감상하시면서 즐거운 시간, 행복한 시간 되세요!